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전기전자분야/전자회로 실험15

[전자회로 실험#15] 적분기 적분기 회로는 위와 같이 미분기 회로에서 저항과 커패시터의 위치가 바뀐 모습이다. 반전 단자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저항에 흐르는 전류IR과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ICFI로 동일하다. (1) IR=ICF=I 가상 단락에 의해 반전 단자의 전압은 0이 되고 저항에 흐르는 전류와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 IR=Vi0R (3) ICF=CFd(0Vo)dt 따라서 (2)와 (3)을 (1)에 대입하여 출력 전압Vo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Vo=1RCFVidt 앞서 미분기에서 .. 2024. 12. 5.
[전자회로 실험#14] 미분기 연산증폭기 응용 회로 중 미분기에 대해 알아보자.미분기는 반전 증폭기 회로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저항이 아닌 커패시터가 달려있다.반전 증폭기 회로의 출력을 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출력 전압을 구할 수 있다. 1. (-) 단자에서 전류 방정식 표현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를 Ic, 피드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If라 한다.  Ic=If  2.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 Ic 표현 Vc=Vin이므로 Ic=CddtVc(t)=CddtVin(t)이 된다. 3. 1번 식에 2번 식을 대입하여 최종 출력 구하기 CddtVin(t)=VoRf.. 2024. 11. 5.
[전자회로 실험#13] 감산기 감산기 회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V2에 의한 V+를 구한 뒤 (-) 단자 마디에서 전류 방정식을 이용해 출력 전압을 구한다. 1. V+ 구하기V+=VR3=R3R2+R3V2  2. (-)단자 마디에서 전류 방정식 세우기I1=IF 전압과 저항으로 나타내면 V1VR1=VVoRf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Vo=(1+RfR1)VRfR1V1이 된다. 3. 1번에서 V+를 2번 식에 대입하여 최종 출력 구하기 $V_{o} = (1+\fr.. 2024. 10. 29.
[전자회로 실험#12] 가산기 가산기 회로는 다음과 같다. 가상 단락에 의해 V=V+=0이 되며, 입력 저항은 이므로 반전 단자와 비반전 단자에 흐르는 전류는 0이다. 따라서 Vs 마디에서 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I1+I2=IF 전압과 저항으로 나타내면 V1R1+V2R2=VoRF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Vo=RF(V1R1+V2R2)가 된다. 만약 R1=R2=R로 두 저항이 같은 경우, Vo=RFR(V1+V2)가 된.. 2024. 10. 29.
[전자회로 실험#11] 비반전 증폭 회로 비반전 증폭 회로를 해석하기 위해 비반전 증폭 회로에서 다루었던 아래 두 개의 식을 다시 한 번 살펴본다. V=V+i=i+=0가상 단락에 의해 비반전 입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의 전압 값은 같고, 연산증폭기의 입력 단자로 흐르는 전류는 0이기 때문에 반전 입력 단자에서 마디 해석을 위한 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I1+I2=I3 각 전류를 전압과 저항으로 표현하면 0VinR1+VoVinRf=0가 되고 이를 출력 전압에 대해 정리하면,  Vo=(1+RfR1)Vin이 된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위와 같이 .. 2024. 10. 29.
[전자회로 실험#10] 반전 증폭 회로 연산증폭기를 응용한 회로 중 첫 번째로 알아볼 회로는 반전 증폭 회로다. 반전 증폭 회로를 알아보기 앞서 궤환(feedback)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궤환이라는 말 보다는 피드백이라고 생각하면 보다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 회로에서 피드백이란 출력이 입력측으로 돌아와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된 것을 의미하며 피드백 설계를 통해 안정도를 높히거나 발진회로를 설계하는 등 응용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그래서 아래의 반전 증폭 회로는 출력에서 Rf를 통해 피드백을 거쳐 반전입력 단자로 들어오게 되는 피드백 경로가 구성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는 가상 단락에 의해 같은 전위를 갖는다.V=V+비반전 입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는 실제로 연결되어있.. 2024.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