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 [전자회로 실험#8] 트랜지스터(BJT)의 동작점 Q 구하기_2 앞서 알아본 고정바이어스 회로와 같은 방법으로 이번엔 전압분배 바이어스 회로의 동작점을 알아본다.먼저 고정바이어스 회로의 구성은 베이스 측에 두 개의 저항이 존재하고 $V_{CC}$의 전압을 두 저항의 비에 따라 베이스 측에 분배한다. 회로를 해석하기 위해서 베이스 측을 테브난 등가회로로 변환하여 해석해야 한다. 위 회로를 아래와 같이 등가회로로 변한한다. $V_{th} = \frac{R_{2}}{R_{1}+R_{2}}\times V_{CC}$$= \frac{6k}{24k+6k}\times 20$$= 4[V]$가 되고 $R_{th} = \frac{R_{1}\times R_{2}}{R_{1}+R_{2}}$$= \frac{24k\times 6k}{24k+6k}$$= 4.8k[ Ω ]$가 된다. 이후 베이.. 2024. 10. 14. [전자회로 실험#7] 트랜지스터(BJT)의 동작점 Q 구하기 트랜지스터를 증폭기, 스위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건에 맞는 바이어스(직류 전원)이 필요하다. 바이어스 방법에는 전원과 저항의 연결 방법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특성에 조금 차이가 있다. 바이어스를 통해 트랜지스터를 요구되는 영역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작점을 찾는게 중요하며 동작점은 바이어스에 따라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는 지점을 나타내며 정지점(Quescent Point, Q점)이라고 부른다. 적절한 동작점을 설정하는 것은 증폭기를 원하는 영역에서 동작시키기 위함인데,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포화 영역에 가까운 동작점에서 교류신호를 증폭하게 되면 출력의 모양이 일그러지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회로의 동작점을 찾아보자.바이어스 회로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위 회로는 고정 바이어스.. 2024. 9. 24. [전자회로 실험#6] 트랜지스터(BJT)의 특성_2 더보기https://yun09n.tistory.com/19 [전자회로 실험#5] 트랜지스터(BJT)의 특성_1트랜지스터는 회로에서 증폭, 스위치로서 동작하는 소자로 대표적으로 BJT, FET이 있다.BJT는 Bipolar Junction Transistor(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말 그대로 두 개의 극성을 가진 소자를 접합 한 트랜yun09n.tistory.com이전 내용이 궁금하다면 위 링크를 참고BJT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V_{BB}$와 $V_{CC}$의 변화에 따라 $I_{B}, I_{C}, V_{BE}, V_{CE}, V_{BC}$를 기록하고 BJT가 활성 영역에서 동작하는 구간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정확한 값은 보다 적은 단계로 변화시키며 관찰해야 하겠지만 위 표를 기준으로 트랜지스터.. 2024. 9. 19. [전자회로 실험#5] 트랜지스터(BJT)의 특성_1 트랜지스터는 회로에서 증폭, 스위치로서 동작하는 소자로 대표적으로 BJT, FET이 있다.BJT는 Bipolar Junction Transistor(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말 그대로 두 개의 극성을 가진 소자를 접합 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BJT는 반송자(Carrier, 전자와 정공)에 따라 NPN, PNP 두 개의 형태가 있고 세 개의 단자 베이스(Base), 이미터(Emitter), 컬렉터(Collector)로 구분된다.BJT의 동작원리를 상세히 알아보면 단자별 이름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단자별 역할만 살펴본다.컬렉터는 반송자가 수집되는 단자, 이미터는 반송자가 주입되는(들어가는 단자), 베이스는 입력 단자이다. BJT는 베이스 전류 $I_{B}$로 컬렉터 전류 $.. 2024. 9. 19. [전자회로 실험#4] 브릿지 정류회로 브릿지 정류회로는 앞선 두 개의 정류회로보다 정류 효율이 높기에 가장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류회로이며 회로는 다음과 같다. 전파정류회로와 달리 다이오드가 두 개 추가되고 중간 탭이 사라진 회로를 확인할 수 있다.정현파 입력의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에 따른 전류 흐름을 나타내면양의 반주기에서는 D2와 D3가 도통되며 D1과 D4는 차단된다. 부하 저항 RL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D2의 캐소드를 지나 D3의 애노드로 향한다.반면 음의 반주기에서는 D1과 D4는 도통되며 D2와 D3는 차단된다. 이때 부하 저항RL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양의 반주기와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적인 경우 다이오드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기에 출력 Vo의 크기는 입력과 같고 음의 반주기에서만 반전된 형태를 나타낼.. 2024. 9. 19. [전기전자기초 다지기#] 커패시터 커패시터란?커패시터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방전하는 소자다. 그렇다면 배터리와 같지 않을까?과정과 시간, 구조 등 차이가 조금 있지만 전기 에너지를 충, 방전한다는 점은 같다는 것만 알아두고 커패시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금속판 사이에 유전체가 끼워져 있는 형태다.커패시터가 전하를 얼마나 저장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전용량(커패시턴스, C) 는 세 가지 요소로 결정된다.$$C=\varepsilon \frac{S}{d}$$커패시터는 유전체로 채워져 있으니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걸까?커패시터는 양단의 전압에 변화가 생길 때, 충, 방전을 한다. 즉 충전과 방전 중에는 전류가 흐른다.그리고 그 전류의 크기는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는 정전용량과 커패시터 양단 전압의 변화량(미분 값)에 비례한다.. 2024. 7. 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