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 정류회로는 앞선 두 개의 정류회로보다 정류 효율이 높기에 가장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류회로이며 회로는 다음과 같다.
전파정류회로와 달리 다이오드가 두 개 추가되고 중간 탭이 사라진 회로를 확인할 수 있다.
정현파 입력의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에 따른 전류 흐름을 나타내면
양의 반주기에서는 D2와 D3가 도통되며 D1과 D4는 차단된다. 부하 저항 RL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D2의 캐소드를 지나 D3의 애노드로 향한다.
반면 음의 반주기에서는 D1과 D4는 도통되며 D2와 D3는 차단된다. 이때 부하 저항RL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양의 반주기와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적인 경우 다이오드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기에 출력 Vo의 크기는 입력과 같고 음의 반주기에서만 반전된 형태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적인 다이오드에서는 0.7V가량의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각 반주기 별로 두 개의 다이오드가 도통되기 때문에 입력전압에서 1.4V를 뺀 값이 출력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실험]
프로그램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회로를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회로도와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회로도를 해석할 때, 우리는 임의로 기준 전압(접지)를 설정하여 회로를 해석하지만 프로그램에게는 접지를 이용해 기준전압을 설정해준다.
입력과 출력의 비교를 위해 입력측과 부하 저항 양단의 전압에 마커를 위치하고 시뮬레이션 프로필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출력은 녹색으로 예상했던 것과 같이 입력의 양의 반주기의 파형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이오드가 도통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을 제외하고 나타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고등학교 수업에서 사용하기 위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내용의 오류가 있다면 언제든 알려주세요.
또한 학습을 위해서라면 언제, 어디서든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전기전자분야 > 전자회로 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회로 실험#6] 트랜지스터(BJT)의 특성_2 (0) | 2024.09.19 |
---|---|
[전자회로 실험#5] 트랜지스터(BJT)의 특성_1 (0) | 2024.09.19 |
[전자회로 실험#3] 전파 정류회로(중간탭 전파 정류회로) (0) | 2024.07.05 |
[전자회로 실험#2] 반파 정류회로 (0) | 2024.06.28 |
[전자회로 실험#1] 다이오드의 특성 (0) | 2024.06.27 |